본문 바로가기

정책,미래산업,신성장

공공부문 '빅데이터'로 창조경제 시동

공공부문 '빅데이터'로 창조경제 시동
미래부, 민간기업과 대용량 데이터 연계 공익형 서비스 개발


기업은 물론 공공부문에까지 빅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모색에 분주하다.

특히 국내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모색은 세계 추세에 비하면 늦었지만 추진 속도 측면에선 괄목할 만하다. 
 
그렇다면 공공부분에서 빅데이터 도입을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정부통합전산센터 김우한 센터장은 “(빅데이터를)헌법 34조에 언급된 국민에 대한 의무를 추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했다.

지난 17일 대치동 서울무역전시장에서 열린 ‘정부 3.0과 빅데이터 정책방향 및 기술’ 행사에서 김우한 센터장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사회보장 및 사회복지 증진 노력의 의무, 재해 예방 등의 내용이 헌법 34조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들”이라며 “이러한 점이 정부가 바라보는 빅데이터의 의미”라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다. 빅데이터는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이에 미래창조과학부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보유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연계해 공익형 서비스를 개발하는 이른바 ‘빅데이터’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빅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베이스(DB)에 존재하는 정형화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트위터·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동영상, 위치·센터데이터 등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미래부는 빅데이트 시범사업 추진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최근 빅데이터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빅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국내 기업이 적고 관련 산업과 서비스도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미래부는 빅데이터 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와 함께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 창의적 아이디어를 결합한 빅데이터 서비스 모델을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오는 5월까지 우수한 빅데이터 서비스 모델과 기술력을 갖춘 사업자를 선정하고 연말까지 빅데이터 관련 추진 과제를 개발 하는 일정으로 추진된다.
 
올해 지원예산은 추진 과제당 2억~4억원으로 총 14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4개 내외의 컨소시엄(협력체)을 선정해 운영자금의 50%를 매칭펀드 형태로 자체적으로 공동출자한다. 운영자금의 절반은 미래부가 지원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데이터 보유기관, 서비스 이용기관, 서비스 개발사 등이 참여할 수 있다.
 
빅데이터 시범사업을 통해 교통, 복지 등 공공기관이 가진 데이터와 위치정보, 결제정보 등 민간의 데이터를 융합한 새로운 지능형서비스 모델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미래부는 기대하고 있다. 
 
미래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공공기관의 데이터와 민간기업의 데이터, 창의적 아이디어를 결합한 빅데이터 서비스 모델을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빅데이터 서비스가 사회 전반에 확산돼 새로운 일자리와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공공·민간간 데이터 개방과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가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