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inFo/경제

못믿을 물가 통계 국민 불신 키운다

못믿을 물가 통계 국민 불신 키운다

  공공요금 등 30개 품목 행안부·통계청 발표 달라
 같은 데이터 결과는 제각각…지방·소비자물가 뒤죽박죽


 30일 소비자물가를 조사하는 통계청과 지방물가를 파악하는 행정안전부의 물가통계를 분석한 결과, 두 기관의 조사 결과는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지난해 9월부터 ‘지방물가정보 공개서비스’를 통해 지방공공요금, 개인서비스요금, 농축산물 등 30개 품목의 가격을 발표하고 있다. 이 통계는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조사 때 쓰이는 데이터를 똑같이 사용한다. 그럼에도 두 기관의 통계 결과는 큰 차이가 난다. 지방물가에서는 가격이 떨어졌지만 소비자물가에서는 오르는 항목도 있다.

이용료(이발요금)의 경우 지방물가 통계에서는 지난달 1만473원으로, 1월의 1만480원보다 0.07%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에서는 이용료가 0.1% 올랐다. 도시가스요금은 지방물가에선 1월과 2월 사이 가격 변동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소비자물가에선 0.09% 상승했다. 세탁료 역시 같은 기간 지방물가에선 변동이 없었지만, 소비자물가에선 0.1% 하락했다. 미용료는 같은 기간 지방물가에선 0.24% 올랐지만, 소비자물가에선 변동이 없었다. 쓰레기봉투료의 경우 소비자물가에선 지난해 9월과 지난달, 지난 1월과 지난달 사이의 물가에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지만, 지방물가에서는 각각 0.24% 올랐다.

더 황당한 경우는 하수도료 통계다. 지방물가에서는 지난해 9월 3584원이던 하수도료는 지난달 3679원으로 2.65%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소비자물가에서는 같은 기간 13.25% 올랐다. 두 기관의 차이는 10.6%포인트에 이른다.

지방물가와 소비자물가의 차이는 돼지고기 3.47%포인트, 무 2.83%포인트, 배추 2.41%포인트, 전철료(카드)는 2.07%포인트에 이른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방물가는 가격을 그대로 공개하고 소비자물가는 지수화하기 때문에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물가 조사 때 조사대상 업체가 바뀌면 소비자물가에는 반영이 안 되지만 지방물가에서는 가격이 그대로 반영돼 차이가 날 수 있다”고도 했다. 이 관계자는 “가격을 그대로 공개하면 소비자의 혼돈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통계의 차이는 물가통계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지적된다. 


정부가 뛰는 생활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주요 생활물가를 공개하는 마당에 통계 자체가 이를 이용하는 개인, 기관, 기업에 따라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와 같은 자기합리화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