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inFo/국제경제

브릭스 은행` 설립 속도낸다

브릭스 은행` 설립 속도낸다




  G20 재무 멕시코 회의서 논의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가 추진 중인 국제은행 설립 작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에 이어 세계은행 총재 자리도 선진국에 돌아갈 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서둘러 은행 설립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 독자적인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도와 브라질 정부 관료의 말을 인용, “브릭스 국가들이 25~26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브릭스 은행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24일 보도했다. 이어 다음달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브릭스 정상회의에서도 이 문제를 주요 의제로 다룰 계획이다. 

브릭스 5개국은 작년 4월 브릭스 은행을 세우기로 합의했다. 브릭스 국가들 간 금융 협력을 강화하고 다른 신흥국을 지원하는 게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후 주춤하던 브릭스 은행 설립 추진에 속도가 붙은 것은 IMF와 세계은행 총재 결정 과정에서 이들의 입장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IMF 총재에 유럽 출신의 크리스틴 라가르드가 선출됐다. 당시 브릭스는 IMF 총재는 신흥국 출신이 맡아야 한다며 아구스틴 카르스텐 멕시코 중앙은행 총재를 지원했다. 오는 6월 말 퇴임하는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후임도 미국 차지가 될 것이 확실하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 로버트 루빈 전 재무장관, 로렌스 서머스 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의장,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등이 거론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브릭스 등은 미국과 유럽이 70여년 동안 세계은행과 IMF 총재를 나눠먹기 식으로 독점하고 있는 데 불만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의 한 정부 관료는 “2008년 금융위기와 최근 유럽 재정위기를 겪으면서 IMF와 세계은행을 주도하는 선진국들이 충분한 재원을 마련하지 못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이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도 브릭스 은행 설립을 추진하게 된 이유”라고 말했다. 

브릭스는 은행을 세울 만한 자산도 충분하다. 브릭스 국가들이 금융위기 이후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대외준비자산을 급격하게 늘려왔기 때문이다. 대외준비자산이란 한 나라가 대외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으로 금, 특별인출권(SDR), 달러 파운드 등 외화를 포함한다.
 




IMF·WB 대항마 '브릭스은행' 만든다



  印·브라질·러 등 추진…글로벌 금융 지도 지각변동 올 듯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이른바 브릭스(BRICS) 국가들이 신흥국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지원을 전담할 브릭스 은행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그 동안 브릭스 국가들은 고속 성장으로 글로벌 위상이 커졌지만 국제 금융의 양대 축인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이 선진국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내왔다. 브릭스 은행이 현실화될 경우 중남미 지역의 남미은행, 아시아권의 아시아통화기금(AMF) 창설 움직임과 맞물려 서방권이 주도해온 세계 금융 권력의 판도에 지각변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통신은 24일 인도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인도가 신흥국 지원을 위한 은행 설립 방안을 브릭스 국가들에게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브라질 정부도 이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브릭스 국가들은 25~26일(현지시간) 멕시코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다음 달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브릭스 정상회담에서도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현재 브릭스 국가들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위상이 과거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높아졌지만 국제금융 권력인 IMF와 WB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데 불만을 표출해 왔다. 브릭스의 형님 격인 중국의 IMF 지분이 지난 2010년 서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미국ㆍ일본 다음인 6.39%로 높아지고 인도ㆍ러시아ㆍ브라질의 지분도 모두 늘어났지만 IMF 내에서 이들의 목소리는 여전히 미미하다.

개발도상국 지원이 설립 명분인 WB 내에서도 마찬가지다. 브라질의 귀도 만테가 재무장관은 지난 15일 퇴임 의사를 밝힌 로버트 졸릭 WB 총재 후임에 “신흥국 후보도 WB를 이끌 수 있는 기회를 공평하게 가져야 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신흥국들의 이 같은 바람이 실현될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 현재 WB 후임 총재의 1순위에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면서 이번에도 ‘IMF총재=유럽, WB총재=미국’이라는 등식은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도 브릭스 국가들은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총재의 후임이 신흥국에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결국 프랑스 출신의 크리스틴 라가르드에게 돌아간 바 있다.

이 같은 좌절을 연이어 맛본 브릭스 국가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은행을 독자 설립해 국제 금융시장이 선진국 입맛대로 흘러가지 않겠다는 의도를 공개적으로 선언한 셈이다.

더구나 남미권이나 아시아권도 역내 금융 안정과 개발 프로그램 지원 등을 위해 독자 은행을 설립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서방이 독점해온 금융 권력에 어느 정도의 균열을 가져올 지 주목되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대통령의 경우 지난 2007년부터 남미 지역 국가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남미은행 창설을 주도하고 있다. 아시아권도 ‘AMF 출범’이라는 장기 목표의 전단계로 역내 금융안정망인 치앙마이이니셔티브다자화(CMIM)의 규모를 빠르면 오는 5월 현재의 1,200억 달러에서 2,400억 달러로 늘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