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inFo/경제

"국내은행 외화채권 운용 규제 강화해야"

"국내은행 외화채권 운용 규제 강화해야"

국내은행 보유 외화채 중 선진국 국공채 비중 0.5%에 불과
"한국물·금융기관물 비중↑..리스크 확산 요인 가능성"


한국은행은 국내 금융기관의 고유동성 해외채 보유 비중이 낮아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한국은행은 30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외충격이 발생할 때마다 국내은행들의 외화유동성 사정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며 "이는 외화차입이 어려울 때 즉시 외화유동성을 활용할 수 있는 고유동성 외화자산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이 산업 기업 농협 국민 우리 신한 하나 SC제일 씨티 등 9개 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7월말 기준 국내은행이 보유한 외화채 118억달러 가운데 선진국 국공채 비중은 0.5%에 불과했다. 이에 반해 국내 금융기관이나 일반기업, 정부·공기업이 발행한 외화채(한국물) 비중은 63.3%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발행주체별로 보면 리스크 전이효과가 큰 금융기관 발행채권이 50.3%로 가장 많았고, 이 가운데 유동성 위험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은행금융기관 발행채권 비중이 52.1%로 은행 발행채 비중(47.9%)을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은행금융기관 발행채 중에서는 금융투자회사(26.5%), 유동화전문회사(25.6%), 캐피탈사(20.9%), 신용카드사(14.9%) 발행물이 주로 차지했다.

한은은 "한국물과 금융기관물 위주의 외화채 투자행태는 개별 은행 입장에서는 신용분석이 쉽고 수익률이 높아 합리적일수 있지만, 금융시스템 전체로는 외화 유동성 대응 능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물은 외환건전성이 악화되는 위기시에 신용위험이 동반 상승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매각이 어려워 유동성 자산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것이다.

또 금융기관이 다른 금융기관이 발행한 해외채를 보유한다는 것은 상호연계성을 높여 리스크를 확산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됐다.

한은은 "실제로 2008년 리먼사태 직후 외화유동성 사정이 크게 악화됐던 10월 중 국내은행의 외화차입금은 46억7000만달러 순상환됐지만 외화채권 매각 규모는 1억9000만달러에 불과했다"며 "채권을 취득가격보다 30% 낮게 처분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때문에 국내은행들이 위기시 손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선진국 국공채 등 해외물로 투자대상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한은은 조언했다. 이어 "정책당국은 한국물에 대한 투자를 외화채의 일정 비율 이내로 제한하는 등 외화채권 운용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